반응형

리더의 용기 -part4

취약성은 조직에서 어떻게 드러날까?

수치심의 주된 원인 중 하나가 '원하지 않는 정체성' 이라고 한다.

이상적인 모습을 침해하는 특징을 가진다고 한다.

나는 어떨까?

'자꾸 실수하는 모습', '자기계발을 안하는 모습' 정도 이지 않을까 한다.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다고 생각이 들지만 실수하는 모습을 들킬 때마다 수치심을 느끼는 것 같다. 어떤 일이나 완벽하게 하고 싶어하지만, 언제나 실수가 나온다. 뭔가 실망을 하게 했다는 생각에 어디로 가 숨고 싶다.

자기계발을 안 하면 불안하다. 뭔가 뒤처지는 것 같고, 속이 답답하다. 쉬어도 쉬는 것 같지도 않다. 그리고 자기계발을 안 한 나를 되돌아보면 굉장히 수치심이 든다. 이렇게 살아도 되는 것일까?

여기서는 수치심을 3가지 형태로 표현한다

  1. 수치심은 누구에게나 있다.
  2. 수치심을 이야기하는 것은 누구나 두려워 한다
  3. 수치심에 대해 언급하지 않을수록 수치심의 지배력이 커진다.

이 수치심 형태를 인정하고 나의 수치심을 바라보라고 한다. 그 수치심을 인정하는 순간 갑옷을 벗게 될 거라고.

수치심 관련 단어 정리

수치심

  • 나는 나쁜 짓을 했다.
  • 반대말은 공감이다.
  • 중독, 폭력, 공격성, 우울증, 식이 장애, 집단 괴롭힘
  • 우리가 더 나은 방향으로 변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의 자신감을 좀먹는다.

죄책감

  • 나는 나쁜 사람이다.
  • 공감과 가치관이 개입
  • 심리적으로 거북한 감정이만 유익한 감정이다.

모욕감

  • 용납할 수 없는 것
  • 자신의 가치관을 유지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노력할 것이다.

당혹감

  • 일반적으로 순간적인 감정에 불과하고 궁극적으로는 재밌게 느껴질 수 있다.

조직문화에 수치심이 있다는 증거

  • 완벽주의
  • 편애
  • 뒷담화
  • 비공식적인 통로
  • 비교
  • 생산성과 결부된 가치 평가
  • 희롱
  • 차별
  • 권위적 군림
  • 집단 따돌림
  • 책임 전가
  • 괴롭힘
  • 은폐

우리 회사는 이런 것들이 있는가?

최대한 대표님이 피하고자 하시는 것들이다. 늘 얘기할 기회에 된다면 얘기하시는 가치들과 정반대의 개념들이다.

그렇다면 전에 다녔던 직장들은 어떨까?

거의 전부 포함이다.

그만두길 잘했다는 생각이 더 확실해졌다. 정말 개판이였네. 어쩐지 다니기 힘들더라.

직원에게 품위있는 퇴사를 할 수 있게 해주라고 한다. 그 직원도 사람임을 유의하면서 말이다.

이런 것에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1. 갑옷으로 무장한 가식 - 너무 소극적이거나 냉정한 경우
  2. 시간과 돈 - 시간과 돈이 많이 들어 투자하지 않는다.
  3. 속죄의 어린 양 - 시스템이나 기능 장애에 대한 책임이 한 사람에게 집중되는 경우 책임 전과
  4. 취약성과 용기의 부족 - 두려움.

공감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정의를 해놨다.

우리는 보통 공감을 해주려고 해결책을 찾거나 상황을 개선하려고 애쓴다. 하지만 그것이 아니라 공감은 어둠 속에서 방황하는 사람과 함께하겠다는 대담한 선택이라 한다.

공감이라는 게 참 어렵다. 언제나 문제가 생겨서 힘이 든다면 그것을 해결하려고 애썼다. 그 사람과 같이 옆에 있어준다? 아직까지 마음 속으로는 받아드리지 못 했다. 그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정말 도움이 될까? 도움이 되는 것 같은데 확신은 못하겠다. 그래도 좋다고 하니 해보긴 해야겠다.

여기서 말하는 공감 향상 기법은 이렇다

  1. 타인의 입장에서 세상을 본다.
    • '내 진실이 유일한 진실'이라는 초깃값은 삶의 과정에 마주하는 시스템과 상황에 의해 더욱 강화된다.
  2.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지 않는다.
    • 타인의 비판은 수치심을 유발한다.
    • 높은 자존감과 객관적인 자신감을 지닌 분야에서도 비판하지 않는다.
    • 모든 것을 아는 척하는 전지전능한 사람이 아니라, 경청하고 배우는 사람이 되라.
  3. 타인의 감정을 이해한다
  4. 그 사람에게 그의 감정을 이해한다는 사실을 전달한다.
  5. 마음챙김

그 반대인 공감 놓침이다.

  1. 동조 vs 공감
    • 공감은 누군가와 함께 느끼는 기분이고, 동조는 누군가를 불쌍히 여기며 동정하는 것
  2. 과도한 감정이입
  3. 실적의 추락
    • 자신에게 실망한 상대에게 맞다. 어떻게 그럴 수 있냐? 라고 하는 것은 무리데쓰
  4. 도르래 장치
    • 제 3자에게 분노를 표출하는 것
  5. 장화와 삽
    • 그 사람이 잘못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자세
  6. 잘못된 교감

다행히 공감 놓침에 해당하는 부분은 인지하고 있는 부분이다. 휴.

중간 위치의 공감을 해서 그나마 다행이다.

수치심 회복 탄력성

수치심이 들더라도 벗어나는 방법이다.

  1. 수치심을 인식하고, 수치심을 유발하는 요인을 알아내라.
  2. 비판적으로 자각하라
  3.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청하라
  4. 수치심에 대해 말하라

다른 사람에게 수치심을 안 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나부터 좀 벗어나는 방법을 실천해봐야겠다. 하나씩 천천히.

실수 노트에 실수한 것들을 적고, 자기계발을 안 하는 날 그냥 보고 인정하려 노력해봐야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